잘못된 생활습관은 없을까?
예방과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불규칙하고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흡연, 음주, 과로,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 일상 속 습관이 더해져 발생하는 질환들을 흔히‘생활습관병’이라고 한다. 당뇨병 역시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9년 당뇨병 환자는 약 32만명으로 전년보다 5.9%가 증가하였고, 5년간 69만명 27.7%가 증가했다.
우리 몸은 탄수화물을 섭취해 소화효소로 포도당을 만들어 혈액으로 흡수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데 이때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하는데 부족하거나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이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상태를‘당뇨병’이라고 한다.
당뇨병의 원인은 어떤 한 가지 이유라기보다 여러 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비만, 노화, 식생활, 운동 부족,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약물복용 등 환경적 요인이 있다.
요즘과 같이 코로나19로 인해 활동이 줄어든 때에는 몸의 변화로 비만이나 우울감이 증가하여 혈당이 높아지기 쉽기 때문에 다음, 다식, 다뇨와 함께 체중 감소, 시력저하, 피로감 및 무기력이 동반되는 경우 당뇨병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당뇨병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하는데, 보통 정상 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식사 후 2시간 혈당은 140mg/dL 미만이다. 당뇨병은 공복혈당 126mg/dL 이상이거나,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이 동반된 경우 식사와 상관없이 혈당 200mg/dL 이상인 경우이며 이와 함께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당수치가 정상과 당뇨병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고위험군인 경우에는 당뇨가 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내분비내과 박소영 교수는 “당뇨병 치료는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 등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혈당 조절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당뇨병 환자는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적절한 약물치료를 받아야한다”라고 이야기하며 “최근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당뇨병 환자들이 손쉽게 당뇨병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당뇨병의 정석’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당뇨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 해당 채널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라고 전했다.
잘못된 생활습관은 없을까?
예방과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불규칙하고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흡연, 음주, 과로,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 일상 속 습관이 더해져 발생하는 질환들을 흔히‘생활습관병’이라고 한다. 당뇨병 역시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9년 당뇨병 환자는 약 32만명으로 전년보다 5.9%가 증가하였고, 5년간 69만명 27.7%가 증가했다.
우리 몸은 탄수화물을 섭취해 소화효소로 포도당을 만들어 혈액으로 흡수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데 이때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하는데 부족하거나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이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 상태를‘당뇨병’이라고 한다.
당뇨병의 원인은 어떤 한 가지 이유라기보다 여러 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비만, 노화, 식생활, 운동 부족,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약물복용 등 환경적 요인이 있다.
요즘과 같이 코로나19로 인해 활동이 줄어든 때에는 몸의 변화로 비만이나 우울감이 증가하여 혈당이 높아지기 쉽기 때문에 다음, 다식, 다뇨와 함께 체중 감소, 시력저하, 피로감 및 무기력이 동반되는 경우 당뇨병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당뇨병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하는데, 보통 정상 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식사 후 2시간 혈당은 140mg/dL 미만이다. 당뇨병은 공복혈당 126mg/dL 이상이거나,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이 동반된 경우 식사와 상관없이 혈당 200mg/dL 이상인 경우이며 이와 함께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당수치가 정상과 당뇨병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고위험군인 경우에는 당뇨가 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내분비내과 박소영 교수는 “당뇨병 치료는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 등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혈당 조절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당뇨병 환자는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적절한 약물치료를 받아야한다”라고 이야기하며 “최근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당뇨병 환자들이 손쉽게 당뇨병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당뇨병의 정석’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당뇨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 해당 채널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라고 전했다.